Information/Healthy

[kmatzip.com] 우리 몸의 든든한 파수꾼 간 이야기(1)

matzipmaster 2025. 4. 13. 10:23
반응형

우리 몸의 든든한 파수꾼, 간 이야기 (1)

 

"침묵의 장기"라는 별명처럼, 간은 아파도 쉽게 티를 내지 않죠. 하지만 우리 몸의 화학 공장이자 해독 센터로서, 1,500가지가 넘는 중요한 일을 묵묵히 수행하고 있답니다. 이 글에서는 우리 몸의 핵심 기관인 간의 기능과 역할은 무엇인지 알아보고, 간 건강을 위협하는 요인과 간을 튼튼하게 지켜주는 고마운 음식들, 그리고 간단한 건강 레시피까지! 간 건강에 대한 모든 것을 알기 쉽게 풀어드릴게요. 지금부터 저와 함께 간 건강 여행을 떠나볼까요?

 


1. 간은 정확히 어디에, 어떤 모습으로 있을까? (간의 위치와 해부학적 구조 상세)



 

우리 몸의 '오른쪽 상복부', 즉 배의 오른쪽 윗부분, 횡격막 바로 아래, 그리고 위장의 오른쪽 부분에 걸쳐 자리 잡고 있는 것이 바로 간입니다. 마치 럭비공을 반으로 잘라놓은 듯한 쐐기 모양을 하고 있으며, 성인 기준으로 무게는 약 1.2kg에서 1.5kg에 달하는 상당한 크기를 자랑합니다. 이는 뇌 다음으로 무거운 장기에 해당하며, 우리 몸 전체 체중의 약 2%를 차지합니다. 색깔은 적갈색을 띠고 있으며, 표면은 매끈하고 광택이 나는 장막으로 덮여 있습니다.

 

간은 해부학적으로 크게 오른쪽 엽(우엽, Right Lobe)과 왼쪽 엽(좌엽, Left Lobe)으로 나뉩니다. 이 둘을 나누는 기준은 간의 앞면에서 보이는 '겸상인대(Falciform Ligament)'라는 구조물입니다. 우엽은 좌엽보다 훨씬 커서 간 전체 부피의 약 60%를 차지하며, 우엽 아래쪽으로는 다시 '네모엽(방형엽, Quadrate Lobe)'과 '꼬리엽(미상엽, Caudate Lobe)'이라는 작은 두 개의 엽이 구분되기도 합니다. 하지만 기능적으로는 이렇게 눈에 보이는 구조보다 혈관과 담도의 분포에 따라 간을 나누는 것이 더 중요합니다.

 

외과 수술 등에서는 간을 8개의 기능적 분절(Segment)로 나누는 쿠이나우드 분류(Couinaud Classification)를 사용합니다. 이는 간 내부의 혈관(간문맥, 간동맥)과 담도의 분포를 기준으로 나눈 것으로, 각 분절은 독립적인 혈액 공급과 담도 배출 시스템을 가지고 있어 특정 분절만 절제하는 수술이 가능하게 합니다. 예를 들어, 간암이 특정 분절에 국한된 경우, 해당 분절만 정밀하게 제거하여 간 기능을 최대한 보존할 수 있습니다.

 

 

간의 혈액 공급 시스템은 매우 독특합니다. 간은 두 개의 주요 혈관으로부터 혈액을 공급받는데, 하나는 간동맥(Hepatic Artery)이고 다른 하나는 간문맥(Portal Vein)입니다. 간동맥은 심장에서 나온 산소가 풍부한 동맥혈을 간 조직 자체에 공급하여 간세포가 활동하는 데 필요한 산소를 전달합니다 (전체 간 혈류의 약 25~30%). 반면, 간문맥은 위, 소장, 대장, 비장, 췌장 등 소화기관에서 흡수한 영양소와 함께, 잠재적인 독소나 세균 등을 포함한 정맥혈을 간으로 운반합니다 (전체 간 혈류의 약 70~75%). 이렇게 소화관에서 흡수된 물질이 전신 순환으로 가기 전에 간을 먼저 거치도록 하는 시스템은 영양소를 효율적으로 처리하고 저장하며, 외부에서 유입된 유해 물질을 효과적으로 해독하기 위한 중요한 전략입니다. 이 두 혈관을 통해 들어온 혈액은 간 내부의 '동양혈관(Sinusoid)'이라는 미세 혈관망에서 섞이게 되고, 간세포와 직접 접촉하며 물질 교환이 일어납니다. 처리된 혈액은 간의 중심 정맥들을 거쳐 '간정맥(Hepatic Vein)'으로 모인 뒤, '하대정맥(Inferior Vena Cava)'을 통해 심장으로 돌아갑니다.

 

담도계(Biliary System) 역시 간의 중요한 구조입니다. 간세포에서 만들어진 담즙(Bile)은 미세한 '담세관(Bile Canaliculi)'으로 분비되어 점차 더 큰 담관으로 합쳐집니다. 간 내부의 담관들은 좌우 '간관(Hepatic Duct)'으로 모이고, 이는 간 외부에서 하나로 합쳐져 '총간관(Common Hepatic Duct)'을 형성합니다. 총간관은 담낭(쓸개)에서 나온 '담낭관(Cystic Duct)'과 만나 '총담관(Common Bile Duct)'을 이루며, 최종적으로 십이지장으로 연결되어 소화를 돕습니다. 담낭은 간에서 만들어진 담즙을 농축하고 저장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처럼 간은 단순히 하나의 덩어리가 아니라, 정교한 혈관 및 담도 시스템과 기능적 분절로 구성된 매우 복잡하고 체계적인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구조적 특징은 간이 수행하는 다양한 기능을 효율적으로 뒷받침합니다.

 

2. 간을 이루는 세포들과 그 역할 (간세포, 쿠퍼세포 등 기능적 특징 상세)

간의 실질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주역은 단연 간세포(Hepatocyte)입니다. 간 전체 부피의 약 70~80%를 차지하는 간세포는 다각형 모양을 하고 있으며, 핵이 하나 또는 두 개 있는 경우도 있습니다. 간세포의 가장 큰 특징은 엄청나게 활발한 대사 활동을 한다는 점입니다. 세포 내에는 미토콘드리아(에너지 생산), 소포체(단백질 합성 및 해독), 골지체(물질 분비), 리소좀(노폐물 처리), 퍼옥시좀(지방산 분해 및 해독) 등 다양한 세포 소기관들이 고도로 발달해 있습니다. 이러한 구조 덕분에 간세포는 영양소 대사, 단백질 합성, 담즙 생성, 해독 작용 등 간의 거의 모든 핵심 기능을 도맡아 처리할 수 있습니다.

 

간세포들은 '간소엽(Hepatic Lobule)'이라는 육각형 모양의 구조적, 기능적 단위를 이루며 배열되어 있습니다. 각 간소엽의 중심에는 중심정맥(Central Vein)이 있고, 각 꼭지점 부근에는 간동맥, 간문맥, 담관이 함께 지나가는 '문맥역(Portal Triad)'이 위치합니다. 간세포들은 중심정맥을 향해 방사상으로 배열된 판(Hepatic Plate) 구조를 이루며, 이 판 사이사이에 혈액이 흐르는 동양혈관(Sinusoid)이라는 특수한 모세혈관이 존재합니다.

 

동양혈관은 일반적인 모세혈관과 달리 혈관벽을 이루는 내피세포(Endothelial Cell) 사이에 작은 구멍(Fenestrae)들이 많고, 기저막이 불완전하거나 없어 혈장 성분이 혈관 밖으로 쉽게 빠져나와 간세포와 직접 접촉할 수 있습니다. 이 공간을 디세 공간(Space of Disse)이라고 부르며, 간세포 표면에는 수많은 미세융모(Microvilli)가 발달해 있어 표면적을 극대화하고 물질 교환의 효율을 높입니다. 즉, 간문맥과 간동맥을 통해 들어온 혈액 속의 영양소, 호르몬, 독소 등은 동양혈관을 지나면서 디세 공간을 통해 간세포와 직접 만나 필요한 대사 과정을 거치게 되는 것입니다.

 

동양혈관 내부에는 간세포 외에도 중요한 역할을 하는 세포들이 존재합니다. 대표적인 것이 바로 쿠퍼 세포(Kupffer Cell)입니다. 쿠퍼 세포는 간에 상주하는 대식세포(Macrophage)의 일종으로, 동양혈관 내벽에 부착되어 있으면서 혈액 속의 세균, 바이러스, 독소, 노화된 적혈구, 암세포 등을 포식하여 제거하는 중요한 면역 기능을 수행합니다. 간이 '면역 장벽' 역할을 할 수 있는 것은 바로 이 쿠퍼 세포 덕분입니다. 장에서 흡수된 혈액에는 장내 세균이나 독소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는데, 쿠퍼 세포가 이를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전신으로 퍼지는 것을 막아줍니다.

 

디세 공간에는 성상세포(Stellate Cell, 혹은 Ito Cell)라는 세포도 존재합니다. 평상시 성상세포는 비타민 A를 저장하는 역할을 주로 하지만, 간이 만성적인 손상(예: 알코올, 바이러스 감염, 지방 축적)을 입게 되면 활성화됩니다. 활성화된 성상세포는 콜라겐과 같은 세포외기질을 과도하게 생성하여 간 조직을 딱딱하게 만드는 간 섬유화(Fibrosis)를 유발합니다. 간 섬유화가 심해지면 결국 간 기능이 돌이킬 수 없이 저하되는 간경변(Cirrhosis)으로 진행될 수 있으므로, 성상세포의 활성화 조절은 간 질환 연구에서 매우 중요한 타겟이 됩니다.

 

이 외에도 담즙을 운반하는 담세관을 형성하는 담관상피세포(Cholangiocyte), 림프구를 포함한 다양한 면역 세포들이 간 조직 내에 존재하며 복잡한 상호작용을 통해 간의 항상성 유지에 기여합니다. 결국 간은 단순히 간세포의 집합체가 아니라, 다양한 종류의 세포들이 각자의 역할을 수행하며 정교하게 조화를 이루는 복합적인 기능 단위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세포 수준의 이해는 간 기능과 질병 발생 메커니즘을 파악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맺음말

 

오늘은 간의 해부학적 지식을 알아보았습니다. 

다음시간에는 간의 주요 기능에 대한 심층 분석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반응형